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블로그에 글을 쓰게 되었어요.

아이코.

 

모내기철이라 시골에 내려가서 논일,밭일을 좀 도와드리다 보니 얼굴은 물론 온몸이 새까매져서 돌아왔답니다 하하

시골은 정말이지 매일매일이 바쁜것같아요. 쉴틈이 없어요.

새벽 3-4시면 일을하시는 시부모님들을 보면서 게으른 몸둥아리를 반성하고 왔네요.

 

그나저나 요즘 부동산 오르락 내리락, 주식은 매일 고공행진, 코로나는 다시 확산세...

좀처럼 뒤수숭한 경제 분위기가 정리되질 않네요.

 

오늘은 제가 거주하고 있는 성남에 대한 부동산 관련 뉴스와 함께

제가 생각하는 부동산 이야기를 한 번 적어볼까합니다-

 

 

 

혹시 내가 부린이(부동산 어린이)다! 싶으시다면 주목해주세요!

 

Q. 지금 집 사야하나요?

YES,YES,YES>>>>>>>>>>좀더이따가..um...>>>>>>>no

 

왜냐고 물으신다면..

1. 나이가 들어서 내집 없이 산다는 것..상상해 보시겠어요?

살면서 이사만큼 큰일도 없다는데요, 집을 구하고 짐을 싸고 다시 짐을 풀고 해당 거주지에 적응하기까지

나이가 들수록 내집의 필요성을 더욱 느낀다고 합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50-60대가 내집의 필요성을 가장 많이 느낀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있었구요.

무엇보다 요즘 고독사, 소득불분명, 치매 등 질병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노인 세입자를 거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답니다.

아래 기사도 한 번 읽어보세요.. 안타깝지만 나이들수록 꼭 필요한 것으로 내집마련 빼놓을 수 없습니다!

 

news.mt.co.kr/mtview.php?no=2020042919124647293

 

청년·신혼부부는 있는데…노인을 위한 집은 없다 - 머니투데이 뉴스

"청년 신혼부부 우선"…노인 주거 지원은 뒷전 노인층은 정부가 지원하는 주거복지 정책에서도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8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표한 '2019...

news.mt.co.kr

2. 화폐가치가 하락할 수록 실물자산(=가장 대표적인 것이 집입니다!!!) 값은 계속 상승할 것입니다.

제로금리 시대에 접어들었습니다.

이제는 2%, 3% 이율에도 엄청난 인원의 사람들이 몰려가서 통장 만들기에 줄을 서는 시대라는 겁니다.

IMF 시절만 해도 금값이 한돈에 4만원 이었던 것. 기억하시나요?

지금은 금한돈에 26만원 정도 하는 것만 보더라도 실물자산의 가치는 우상향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화폐의 가치가 점점 더 하락할 수록, 혹은 저처럼 마이너스 금리까지 더 하락할 것이라 예상되신다면 실물자산 '부동산'을 붙들으셔야 겠습니다.

실제로 KB 부자금융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부자들은 약 60%를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다는데요,

 

 

요즘같이 정신없는 시기에는 더더욱

실물자산(집, 금, 원자재 등)과 현금(채권,예금,적금 등)의 비율을 적절하게 분산하셔서 투자하셔야 겠습니다.

 

3. 9억이하 매물 없어진다

현 정권에서 9억 이상 부동산 매물 거래시 자금출처부터 매매호가 사유까지 개인 세무조사를 까다롭게 진행하고 있는데요

사정이 이렇다보니 9억 미만 부동산 매물에 자금이 몰리면서 수도권 5-6억대 아파트 값이 9억 아래까지 바짝 쫒아올라와버리는 현상이 벌어졌답니다. 3년 내 서민 아파트는 사라진다는 기사도 한 번 살펴보시지요...

 

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0060802109932036004&ref=naver

 

집값 잡겠다더니…3년 내 `서민 아파트` 사라진다

[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문재인 정부가 서민 주거 안정을 외친 것과 달리 3년 내..

www.dt.co.kr

어찌되었든 부동산 시장이 얼마나 출렁이든간에 우상향 할 것이라는 판단 아래

저는 요즘 조금 더 투자가치가 있는 집으로 이사를 계획하고 있는데요

 

Q.어디로 이사가면 좋을까요?

 

신축 VS. 구축

요즘 부동산 매매의 신고가 갱신은 신축이 답입니다! 코로나 여파에도 절대 떨어지지 않는 신축을 주목하세요

 

서울 VS. 기타 지역

서울은 근 3년 새 44%의 집값 상승율을 보였습니다. 평균 집값이 평당 6600만원이 넘으면서 세계 4위라고 하는데요.

다소 급격하게 오른 서울보다 기타 수도권 지역으로 눈을 돌리시거나 급매(약 10%하락가), 급급매 (20%하락가) 선에서 구매를 결정해보세요

 

주목해야할 키워드!

무조건 역세권! 그리고 GTX!!!

 

 

오늘 '2035 성남 도시기본계획' 경기도 승인 통과 뉴스가 알림이 왔어요.

야탑..여수..분당구 끝자락이 성남의 도심으로 발전할 것을 그리고 있는데요

 

이재명 도지사의 말처럼

경기도가 이제는 서울의 외곽이라는 표현이 어울리지 않는 지역이 되지 않을까 감히 예상해보며,

다음 글은 내집마련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해 한 번 적어볼께요!

 

 

asiatime.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8275673934

 

′2035 성남 도시기본계획′ 경기도 승인 통과

아시아실리콘밸리 조성․도시 균형발전 사업 탄력2035년 유입 인구수 고려 108만2000명으로 잡아

asiatime.co.kr

 

 

#성남 #재건축 #재개발 #도시기본계획 #2035성남 #성남발전 #부동산 #내집마련 #어디에집살까 #부동산재테크 #부린이 #부동산시세 #부동산주의할것 #신혼부부 #무주택자 #조정대상지역 #다주택자 #9억이하 #아파트추천 #지역추천 #GTX #GTXA #야탑 #여수 #분당

 

반응형

+ Recent posts